취미/와인

[와인, 지피지기면 백전백승] 프랑스의 화이트 와인 ① 프랑스 와인의 산지와 등급 "루아르 밸리, 보르도"

포테이토준 2023. 7. 19. 10:22
반응형

루아르 밸리

루아르 밸리는 대서양 연안의 낭트 시에서부터 루아르 강을 따라 1000km쯤 뻗어 있다. 이 지역의 화이트 와인용 포도 품종 중 알아두어야 할 것은 다음 두 가지이다.

소비뇽 블랑 SAUVIGNON BLANC

슈냉 블랑 CHENIN BLANC

루아르 밸리의 와인은 알자스와는 달리 포도 품종과 제조사보다는 스타일과 빈티지를 보고 골라야 한다. 루아르 밸리 와인의 주요 스타일은 다음과 같다.

푸이 퓌메 POUILLY-FUME: 루아르 밸리 와인 중 가장 높은 바디와 농도를 지닌 드라이 와인으로, 100% 소비뇽 블랑으로 만든다.

뮈스카데 MUSCADET: 라이트하고 드라이한 와인으로, 100% 믈롱 드 부르고뉴 Melon de Bourgogne 포도로 만든다.

상세르 SANCERRE: 풀 바디의 푸이 퓌메와 라이트 바디의 뮈스카데 중간쯤 되는 밸런스로, 100% 소비뇽 블랑으로 만든다.

부브레 VOUVRAY: 드라이하거나, 약간 달콤하거나, 달콤할 수가 있다. 100% 슈냉 블랑으로 만든다.

'푸이 퓌메'라는 이름의 유래

이 이름의 유래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는데 그중 두 가지 설은 아침에 이 지역을 덮는 뿌연 안개와 관련이 있다. 햇빛이 내리쬐어 안개가 증발할 때 연기가 피어오르는 것처럼 보여서 이런 이름이 붙었다는 설이 있는가 하면, 안개가 소비뇽 블랑 포도에 핀 '연기 모양'의 꽃 같아서 붙은 이름이라는 견해도 있다.

음용 적기

대체로 루아르 밸리의 와인은 어릴 때 마셔야 한다. 단, 달콤한 부르레는 예외로 비교적 오랫동안 저장해도 된다. 더 구체적인 지침은 아래와 같다.

푸이 퓌메: 3~5년

상세르: 2~3년

뮈스카데: 1~2년

'푸이 퓌메'와 '푸이 퓌세'의 차이점

'푸이 퓌메'와 '푸이 퓌세 Pouilly-Fuisse'가 발음이 비슷해서 서로 관련이 있는 와인일거라고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푸이 퓌메는 100% 소비뇽 블랑으로 만들고 루아르 밸리산인 반면, 푸이 퓌세는 100% 샤르도네로 만들며 부르고뉴의 마코네 Maconnais가 생산지이다.

보르도

보르도에서는 레드 와인만 나온다고 알고 있는 사람들이 있는데, 이는 오해다. 사실 보르도의 대표적인 다섯 지역 중 두 곳인 그라브 Graves와 소테른 Sauternes은 훌륭한 화이트 와인 생산지로 유명하다. 소테른은 달콤한 화이트 와인으로 세계적인 명성이 있다. 두 지역에서 재배되는 대표적인 화이트 와인용 포도 품종은 다음과 같다.

소비뇽 블랑 SAUVIGNON BLANC

세미용 SEMILLON

그라브의 화이트 와인의 분류

다음의 두 가지 등급으로 분류된다.

그라브 GRAVES

페삭 레오냥 PESSAC-LEOGNAN

기본 등급의 그라브 와인은 대부분 그냥 '그라브'로 불리며, 최상급의 와인은 페삭 레오냥에서 생산된다. '그라브'라고 적힌 와인들의 산지는 그라브 남부 지역으로 소테른 외곽이지만, 페삭 레오냥은 그라브 북부지역으로 보르도 옆이다. 최상급 와인들은 특정 샤토 Chateau의 이름, 즉 최상급 포도를 생산해내는 특별한 포도원의 이름이 와인명이 된다. 이들 와인의 양조에 쓰이는 포도는 대체로 더 좋은 토양과 더 좋은 재배조건에서 재배되고 있다. 그라브의 와인은 샤토 와인이나 지역 와인 모두 드라이하다.

소테른, 바르삭

프랑스의 소테른 Sauternes은 예외 없이 달콤하다. 발효 시 포도당을 전부 알코올로 변환시키지 않기 때문이다. 프랑스 소테른치고 드라이한 것은 하나도 없다. 소테른에 인접한 지역인 바르삭 Barsac은 와인명으로 바르삭이나 소테른 중 하나를 골라 사용한다.

스타일에 따른 2가지 등급

  1. 지역 와인 (★)
  2. 등급이 지정된 샤토 와인 (★★★~★★★★)

소테른은 달콤한 와인에서는 여전히 세계 최고로 꼽히는 생산지이다. 소테른의 주요 포도 품종으로는 다음 두 가지이다.

세미용

소비뇽 블랑

드라이한 '그라브 와인'과 달콤한 '소테른 와인'은 같은 포도를 사용하는데,

스타일은 왜 그렇게 다를까?

우선, 최상급 소테른은 세미용을 주원료로 쓴다. 그리고 소테른을 만들기 위해서 와인메이커는 포도를 좀더 늦게 딴다. 보트리티스 시네리아 Botrytis cinerea(귀부병 noblerot)라는 곰팡이가 생기길 기다리는 것이다.

포도에 귀부병이 생기면 포도는 속의 수분이 증발하면서 시든다. 포도가 이처럼 '건포도화'되면 당분이 응축된다. 게다가 와인 양조 과정에서 모든 당분을 알코올로 발효시키지 않으면 잔당이 많이 남게 된다.

소테른의 등급분류

특등급 - 그랑 프리미에 크뤼 GRAND PREMIER CRU

- 샤토 디켐 Chateau d'Yquem

1등급 - 프리미에

- 샤토 쉬뒤로 Chateau Suduiraut

- 샤토 클리망 Chateau Climens

- 샤토 리외섹 Chateau Rieussec

2등급 - 되지엠 크뤼 DEUXIEMES CRU

- 샤토 다르슈 Chateau d'Arche

- 샤토 브루스테 Chateau Broustet

- 샤토 카이유 Chateau Caillou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