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독일 와인의 산지, 포도 품종, 스타일
1971년 이전에 독일 와인에 대해 공부했더라면 3만 개의 포도원의 이름을 외워야 했을 것이다. 당시에는 수많은 사람이 포도원을 아주 작은 구획으로 나누어 각각 소유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독일 정부는 독일 와인을 이해하는 데 덜 혼동스럽게 하기 위해 1971년 새로운 와인법을 통과시켰다. 이 법령에 따르면 포도원이 되려면 땅 넓이가 최소한 12.5에이커는 되어야 했다. 이로써 독일의 포도원 수는 대폭 줄었으나 소유자 수는 증가했다.
독일의 와인 생산량은 세계적으로 5% 내외이다. 또, 어떤 와인을 생산하느냐는 날씨에 크게 좌우된다. 와인 생산지를 지리적으로 살펴보면 독일은 포도나무를 재배할 수 있는 지역 중 최북단에 위치해 있다. 그리고 우수 포도원의 80%는 경사진 비탈지에 있다. 그래서 독일에서는 기계 수확은 꿈도 꿀 수 없다.
독일 와인의 주요 포도 품종
리슬링 RIESLING: 단연코 가장 많이 재배되며 독일에서 재배하기에 가장 적합한 품종이다. 라벨에 '리슬링'이라는 명칭이 보이지 않는다면, 그 와인에는 리슬링이 거의 쓰이지 않은 것이다. 그리고 라벨에 포도 품종이 표시되어 있다면 독일법에 따라 그 포도 품종이 최소한 85% 원료로 쓰인 것이다. 리슬링은 독일에서 재배되는 포도 가운데 21%를 차지한다.
뮐러 투르가우 MULLER-THURGAU: 리슬링과 샤슬라 Chasselas의 교배종이며, 독일 와인 중 13.5%가 이 포도로 빚어진다.
실바너 SILVANER: 독일 와인 중 5%를 이 품종의 포도로 만든다.
독일의 주요 와인 생산지
아래의 4개 지역명만 알아두면 된다. 다른 곳보다 이 4곳에 중점을 두는 이유는 이 4곳 이외의 지역에서 생산되는 와인을 좀처럼 보기 힘들뿐더러 이 4곳에서 최상급 독일 와인이 생산되기 때문이다.
라인헤센 RHEINHESSEN
라인가우 RHEINGAU
모젤 MOSEL
팔츠 PFALZ
독일 와인의 스타일
간단히 말해서, 독일 와인은 당도와 산도의 밸런스가 좋으며 알코올 함량이 낮다. 다음의 공식을 기억하라.
당분 + 효모 = 알코올 + 이산화탄소
당분의 원천은 바로 태양이다. 포도나무가 남쪽으로 비탈진 경사지에 있고 기후가 좋다면 햇볕을 많이 받아 당분이 충분히 형성된다. 그런데 와인 메이커들은 햇볕을 충분히 얻지 못할 때가 많다. 그 결과, 포도의 산도가 높고 알코올 함량이 낮아진다. 이 점을 보완하기 위해 일부 와인 메이커는 발효시키기 전에 포도즙에 당분을 첨가하여 알코올 함량을 높인다. 이런 과정을 '가당 chaptalization'이라고 한다. (독일의 상급 와인에는 가당이 금지돼 있다.) 독일 와인은 다음과 같이 세 가지 기본 스타일이 있다.
트로켄 TROCKEN: 드라이
할프트로켄 HALBTROCKEN: 미디엄 드라이
프루티 FRUITY: 조금 드라이한 것에서 아주 달콤한 것까지
'취미 > 와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와인, 지피지기면 백전백승] 부르고뉴와 론 밸리의 레드 와인 ① 부르고뉴의 레드 와인 (0) | 2023.07.21 |
---|---|
[와인, 지피지기면 백전백승] 독일의 화이트 와인 ② 포도의 숙성도에 따른 독일 와인의 등급 (0) | 2023.07.21 |
[와인, 지피지기면 백전백승] 미국 와인의 이해 ③ 캘리포니아 주 (0) | 2023.07.19 |
[와인, 지피지기면 백전백승] 미국 와인의 이해 ② 워싱턴, 오리건, 뉴욕 주 (0) | 2023.07.19 |
[와인, 지피지기면 백전백승] 미국 와인의 이해 ① 미국의 와인산업 2부 (0) | 2023.07.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