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임상시험

임상시험 데이터베이스 설계 및 관리 - CRF (증례기록서)

by 포테이토준 2023. 7. 17.
반응형

CRF (증례기록서)

CRF

"증례기록서" (Case Report Form, CRF)란 각각의 시험대상자별로 임상시험 계획서에서 요구한 정보를 기록하여 임상시험의뢰자에게 전달할 목적으로 인쇄하거나 전자문서화한 문서를 말한다.

CRF의 목적

  •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도구

▶ Protocol에 따르는 데이터 수집

▶ Regulatory의 요구사항에 맞는 데이터 수집

  • 자료 수집 및 기입의 편리성
  • 효율적인 자료 관리 (Data Management)
  • 통계분석에 적절한 자료 수집
  • 임상시험 의뢰자 및 규제기관 제출

CRF의 개발

  • 누가?

▶ Data Manager 또는

▶ Data Manager를 구성원으로 포함하는 임상시험 직무 종사자들 (의뢰자, CRA, Biostatistician 등)

  • Data Manager

▶ 임상시험 자료를 전문적으로 관리 (DM, Data Management)하는 담당자

→ 자료가 기입된 CRF를 전자화(DB화)

→ 전자화된 자료가 Protocol, CRF 및 관련 규정/가이드라인 등을 준수하는지 확인

→ 자료가 정확하고 신뢰성 있어 통계분석에 이상이 없는지 확인

▶ CRF로 수집된 자료를 제일 먼저 접하는 전문가로서 CRF 개발에 필수적으로 참여

CRF 개발 전 사전 작업

  • 확정된 Protocol 확보 (IND 승인, 식약처 승인 등)

▶ Draft Protocol로 개발을 시작한다면 Protocol의 변경가능성이 있으므로 작업 시간 및 결과가 비효율적

  • Protocol에 대한 충분한 이해

▶ Training 필요 (from. Protocol 개발자)

▶ 방문일정, 유효성평가변수, 안전성평가변수를 비롯한 다양한 조사항목 및 조사방법 이해

  • Kick-off meeting

▶ Protocol 개발자, 의뢰자, PM(또는 CRA), Biostatistician 등 참석하여 CRF 디자인 논의

평가변수를 비롯한 조사항목을 구체적으로 확인 필요

▶ EDC(eCRF) 적용할 CDMS 종류 확인

▶ 연구타입 (허가임상, 사용성적조사, NIS 등) 고려

Type of CRF

Paper CRF
eCRF
  • 디자인된 CRF를 종이로 인쇄하여 작성하는 방식
  • 각 인쇄용 페이지에 구성될 조사항목의 개수 및 크기가 제한적
  • 모든 페이지에 연구번호, 시험대상자식별코드, 방문정보, 총 페이지 수, 해당 페이지번호 등이 명시된 Header information을 포함
  • 시험자/CRC는 직접 펜으로 수기 기재, 한정된 작성 공간, 다양한 필체의 해독 문제 잠재
  • 전자화를 위하여 종이 CRF의 물리적 이동이 불가피하며, 작성 완료 후 DM팀으로 이동 필요
  • DM팀에서 DB에 직접 입력하여 전자화 작업 진행
  • Query 해결도 종이(DCF)로 처리, 시험자/CRC는 Query에 대한 Clarification을 직접 펜으로 수기 기재, DCF의 물리적 이동 불가피
  • DM 완료 (DB Lock) 후, 종이 CRF/DCF는 기관으로 반송
  • 디자인된 CRF를 CDMS (Clinical Data Management System)에서 입력하는 방식
  • Web page로 입력화면이 구현되며 각 페이지에 구성될 조사항목의 개수 및 크기가 유연
  • 시험자/CRC는 인터넷과 PC만 있으면 자료 입력 가능, 입력과 동시에 자료는 전자화되어 저장
  • 계산으로 얻어지는 값을 직접 입력 받지 않고 자동으로 도출 가능 (예, 신장과 체중을 사용한 BMI나 설문지의 각 답변 결과의 총합 등)
  • 답변에 따라 특정 항목을 생략하거나 반드시 입력해야만 저장되도록 제어가능
  • Query 해결도 CDMS에서 처리
  • DM 완료 (DB Lock) 후, CRF는 전자화 (CD 또는 파일)되어 전달

Consideration

  • 질문

→ 유도질문, 부정형의 질문을 사용하지 않음

→ 주관적이거나 해석을 요구하는 질문보다는 객관적인 결과나 지표를 기재 할 수 있는 질문 사용

  • 답변

→ 서술형 답변 지양

→ 범주에서 선택 (예를 들어 남/여, 경증/중등증/중증 등)하거나 객관적 결과 (예를 들어 검사일, 연령, 혈압, 검사결과, 설문지 등)로 작성할 수 있게 구성

→ 범주형 답변은 코드번호 (1, 2, 3) 뿐만 아니라 코드명 (1=경증, 2=중증도, 3=중증)도 함께 명시

→ 날짜 및 시간은 작성 방식을 함께 명시

→ 숫자형 답변은 자릿수 제한, 반올림 기준과 측정단위 명시

결과가 누락될 수 있는 경우, NA (Not Applicable), ND (Not Done), UK (Unknown) 를 답변에 포함

  • 구성

→ 불필요한 동일한 질문을 반복적으로 수집하지 않음

→ 조사항목 간 계산이 가능한 경우 계산결과는 수집하지 않음 (예를 들어, 방문별 혈압의 평균값, 각 설문 문항 답변의 총합 등)

→ 불필요한 자료 확인을 유발하는 항목 제외

→ 설문지 형태 구성 가능

⇒ 고려사항을 만족하지 않는 CRF로 수집된 자료는 불명확하고 오류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Query 증가로 직결된다.

  • 기록형식

→ Log (일지) 기재 형식

→ 방문 기재 형식

→ 예1: 방문마다 측정하는 혈압은 Log 기재 형식과 방문 기재 형식 중 자료 기재 및 처리 과정, 통계분석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선택

→ 예2: 이상반응이나 병용약물과 같이 방문마다 변화를 확인하지만 그 결과를 방문을 기준으로 구분하기 어렵다면 일지형식으로 수집하도록 디자인

CRF completion guideline

CRF 작성 지침

  • CRF를 작성/기입하는 기준을 정의한 문서

→ 다수의 시험자/CRC에게 일관성 있고 명확한 CRF 작성법을 안내

→ 질 높은 자료 수집을 돕기 위해 일반적인 지침과 특정 지침을 제공

→ CRA의 SDV에 도움

  • 주요 포함 사항

→ Partial Dates

→ Unknowns

→ Missed Visits

→ Unplanned visits

→ Discontinued Subjects

→ May also include navigation or technical instructions associated with an EDC system (EDC: 주석 처리 가능)

CRF 개발시 고려사항

→ 중복 수집되지 않음 (ex, 생년월일과 연령)

→ 'raw'한 데이터로 수집 ('연령'보다는 생년월일)

→ 계산값 배제 (평균, 총점 등)

→ CRF 페이지마다 동일질문 반복 수집

→ 명확한 조사항목 구성

→ 유도질문, 모호한 질문, 부정형의 질문

→ 응답으로 공백이 허용되는 질문은 포함하지 않음 (ex, YES이면 체크하시오→YES/NO)

→ NA (Not Applicable), ND (Not Done), UK (Unknown) 항목 포함

→ Comment 또는 Text 값 수집은 최소화

→ 날짜, 시간: 24시간 format으로 기재 (yyyy-mm-dd, HH:MM:SS)

→ 가능하면 숫자값/코드화된 값으로 수집

→ Numeric인 경우 자릿수 한정 및 소수점자리 (반올림 기준) 명시

→ Log 형식의 경우 방문기록 형식 / 로그형식 중 적절히 선택

→ 설문지 형태 구성 가능

→ 일관성 있는 분류항목 (YES/NO, 있음/없음 등...)

→ 데이터를 찾기 쉽게 구성

→ 사용자가 보기 편하게 구성 (머릿글 반복, 너무 복잡한 디자인, 한 페이지 수용범위 초과 등)

→ 조사항목에 대한 명확한 instruction 제시

→ 불필요한 validation을 유발하는 항목 제외

→ 분류된 항목에 명확한 label 기재

→ 측정단위 (e.g., in/cm, lb/kg, lab units, 투여용량)

CRF version control

CRF Version 관리

→ CRF 개발이 완료되면 version과 적용일 (effective date)을 CRF에 포함

→ Protocol의 변경 또는 다른 이유로 CRF의 변경이 필요하다면 최초 개발 version과는 다른 version으로 관리

→ 각 version마다 변경적용일 (effective date)을 포함

→ 구체적인 변경 내용은 문서화 (CRF 변경대비표)되어 담당자들과 공유하며 version별 변경사항을 쉽게 파악 가능하도록 함

Annotated CRF

Annotated CRF

→ CRF에는 조사되는 각 항목이 DB에 저장되는 위치 (테이블, 변수명), 그 형식 (문자/숫자/날짜 및 자릿수) 등을 명시한 문서

→ CRF에 명시할 내용을 주석을 달아 관리

→ 전자화된 자료를 다루는 자료 관리 및 통계분석에서 유용하게 사용되며, 그 외 전자자료를 접하는 모든 담당자에게 공유됨

Documents for CRF

  • CRF
  • Metadata
  • Blank CRF
  • Annotated CRF
  • Version control
  • Data CRF

EDC

  • System selction

→ Vendor

→ Requirement

  • System vs DM

→ Data validation specification

→ Data review during whole trial

  • Paper vs EDC

→ Real time (quality)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