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스트리아
오스트리아는 포도 재배와 와인 양조 역사가 기원전 4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가지만 우수한 생산지로 인정받기 시작한 것은 불과 3,40년 전이다. 현재 오스트리아에서 생산되는 화이트 와인 중 몇몇은 유럽에서 가장 우수한 화이트 와인으로 꼽힌다(드라이한 스타일이나 스위트한 스타일 모두에서 인정을 받고 있다). 특히 그뤼너 펠틀리너나 리슬링 포도로 빚은 와인들은 음식과의 조화가 완벽하리만큼 뛰어나며, 이것은 오스트리아 와인이 최근에 성공을 거두게 된 한 원인이기도 하다. 실제로 주방장이나 소믈리에들 모두 이 와인들이 생선류나 가금류에서부터 대부분의 육류 요리에 이르기까지 자신들의 메뉴판에 올려진 거의 모든 음식과 잘 어울린다는 데 이의를 달지 않는다. 게다가 오스트리아 와인들은 아시아 요리의 양념들과 만나도 그 맛이 압도되지 않는다.
오스트리아의 와인 생산지
오스트리아의 와인 생산지로는 로어 로스트리아 Lower Austria(니더외스터라이히 Niederosterreich), 빈 Vienna(Wien), 부르켄란트 Burgenland, 슈티리아 Styria(슈타이어마르크 Steiermark) 네 곳이 있으며, 이들 지역은 모두 오스트리아 동쪽 국경을 따라 위치해 있다. 이 와인 생산지들 중에서 로어 오스트리아와 빈을 포함하는 북부 지역은 다뉴브 강과 다뉴브 강을 에워싼 비옥한 계곡으로 특징지어진다.
다음은 주목할 만한 와인 생산지역 region과 각 지역 내의 생산지구 district들이다.
로어 오스트리아(화이트 와인): 바하우 Wachau, 캄프탈 Kamptal
부르겐란트(레드 와인, 디저트 와인): 노이지들러제 Neusiedlersee, 미텔부르겐란트 Mittelburgenland
오스트리아에서 재배되는 주요 포도 품종
다음은 화이트 와인용 품종이다.
그뤼너 펠틀리너, 소비뇽 블랑, 리슬링, 샤르도네
다음은 레드 와인용 품종이다.
블라우프랜키슈 BLAUFRANKISCH, 피노 누아르, 생 로랑 ST. LAURENT
오스트리아의 와인법
오스트리아는 라벨 표기 측면에서 유럽의 다른 나라들, 특히 독일과 유사한 기준을 따르고 있으나, 더 엄격한 통제를 가하는 편이다. 기본적인 품질 등급은 포도의 숙성도와 포도즙 발효 시의 당도에 따라 결정된다. 다음의 세 가지가 그 주요 품질 등급이다.
타펠바인 TAFELWINE
크발리테츠바인 QUALITATSWEIN
프레디카츠바인 PRADIKATSWEIN
한편 오스트리아의 와인위원회는 크발리테츠바인 이상급의 와인에 대해 시음을 하고 화학적 분석을 실시하여 소비자들에게 맛, 스타일, 품질을 보증해주고 있다. 오스트리아에서는 라벨에 특정 포도명을 표기하려면 그 품종의 포도가 최소한 85% 쓰여야 한다. 라벨에 빈티지를 표기하려면 원료의 최소한 85%가 그해 빈티지여야 하고, 와인 생산지가 명기되려면 와인 전체(100%)가 그 지역에서 생산된 것이어야 한다.
오스트리아 와인의 스타일
오스트리아의 와인은 북쪽 인접국인 독일과 마찬가지로 대다수가 화이트 와인이다. 반면에 독일과는 달리, 대체로 드라이한 편으로 알코올 도수가 높고 바디가 더 묵직하여 오히려 알자스 와인과 유사하다. 숙성도의 단계는 발효 후에 남은 잔당을 나타내는 데, 오스트리아에는 아주 드라이한 트로켄에서부터 아주 스위트한 트로켄베렌아우스레제까지 있다.
숙성도에 따른 분류
드라이
|
스위트한 것에서 아주 스위트한 것까지
|
|
|
헝가리
헝가리의 와인산업은 문화적으로나 경제적으로나 거의 천년에 걸쳐 번성을 누려왔으며 그 역사를 거슬러 가자면 로마제국 시절에까지 이른다. 헝가리의 가장 유명한 명품 와인 토커이는 16세기부터 생산된 것이다. 한편 헝가리 와인의 명성은 1949년부터 1989년까지 공산주의 통치 하에 크게 쇠퇴하기도 했다. 와인 생산이 국가 독점 체제로 통제되던 그 시절 동안엔 생산의 방향이 벌크 와인 쪽으로 바뀌면서 기존의 우수 와인들의 품질을 유지하거나 향상시키는 방면으로는 등한시되었다.
1989년 공산주의의 통치가 종식된 이후 헝가리는 다시 우수 와인의 생산에 중점을 두게 되었으며 이탈리아, 프랑스, 독일의 와인 메이커들도 이러한 노력에 자본을 투입하고 있다. 현재 헝가리는 현대적 와인 양조 설비, 새로운 포도원 관리 기술, 소비뇽 블랑, 샤르도네, 피노 그리 품종의 도입에 힘입어 몰락 직전이던 우수 와인 생산 산업이 재건되어가고 있다. 처음엔 토커이의 유명한 포도원들 쪽으로 관심이 집중되었으나 차츰 헝가리 전역으로 투자가 확대되는 중이며, 이로써 헝가리는 다시 한 번 뛰어난 명품 와인들을 생산해내기에 이르렀다.
헝가리의 주요 포도 품종
|
헝가리 토착 품종
|
세계적 품종
|
청포도
|
|
|
적포도
|
|
|
헝가리의 주요 와인 생산지
가장 유명하고 명성 높은 토커이를 포함하여 주요 생산지 7곳을 주요 포도 품종과 함께 소개하자면 다음과 같다.
버더초니: 올라스리즐링
에게르: 켁프란코시, 피노 누아르
소몰로: 푸르민트
소프론: 켁프란코시
섹사르드: 카다르카, 메를로, 카베르네 소비뇽
토커이: 푸르민트, 하르슐레벨뤼
빌라니 시클로스: 카베르네 소비뇽, 켁프란코시
토커이 어수, "왕의 와인이자 와인의 왕"
토커이 어수의 생산지인 토커이는 헝가리 북동부 변경에 위치하며 세계 최고의 와인 생산지 가운데 든다. 토커이 Tokaji는 마을명인 토커이 Tokaj에서 유래된 것이고 어수 Aszu는 원료로 쓰이는 아주 마르고 쪼그라든 귀부병 걸린 포도를 가리키는 말이다. 토커이 어수는 세계의 명품 스위트 와인으로 손꼽히며 프랑스의 소테론이나 독일의 트로켄베렌아우스레제와 동등한 지위에 있다.
토커이 어수는 대체로 헝가리 토착 품종 네 가지를 블랜딩하고 푸르민트를 주원료로 하여 빚어진다. 가을 수확기 동안 보트리티스 시네리아 곰팡이에 감염된 포도, 즉 어수는 포도송이에서 한 알씩 따서 살짝 으깨놓는다. 한편 보트리티스 시네리아에 감염되지 않은 포도는 수확하고 발효시켜서 베이스 와인으로 만든다. 그리고 으깨놓은 어수를 푸토뇨시 puttonyos라는 바구니에 담아서 원하는 달콤함의 정도에 맞추어 베이스 와인에 블랜딩한다. 이때 달콤함의 정도는 푸토뇨시, 즉 베이스 와인에 몇 바구니의 어수를 넣는가에 따라 측정되는데, 정통 토커이 어수의 라벨에는 예외 없이 '푸토뇨시 Puttonyos'라는 단어가 들어간다. 베이스 와인에 보트리티스 시네리아에 감염된 포도(으깬 것)를 더 많이 넣을수록 와인은 더 달콤하며, 이런 푸토뇨시 와인은 다음과 같이 네 단계로 나뉜다.
3 푸토뇨시: 리터당 당분 함량 60g
4 푸토뇨시: 리터당 당분 함량 90g
5 푸토뇨시: 리터당 당분 함량 120g
6 푸토뇨시: 리터당 당분 함량 150g
토커이 와인 중에서도 가장 달콤한 와인은 일명 에센치아 Essencia(더러는 Eszencia로 표기되기도 함)라고 불린다. 토커이 '어수 에센치아'는 당분 함량이 180g에 이른다. 또한 토커이 '에센치아'는 리터당 당분 함량이 800g이 넘기도 하며, 세계적으로 진기한 와인에 속한다.
그리스
와인이 그리스의 문화와 라이프 스타일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 시기는 최소한 기원 전 7세기까지 거슬러간다. 그리스와 지중해 국가 전역에서 와인은 줄곧 가장 많이 거래되는 상품에 속했다.
1985년 전까지만 해도 그리스의 와인 대다수는 다소 평범했으며, 수출은 대규모 벌크와인 생산자들이 주축이 되어 주로 해외의 그리스인 사회를 소비층으로 하여 이루어졌다. 하지만 지난 세월동안 그리스의 와인산업은 우수한 와인의 생산에 전력을 기울여 왔다. 그리스가 1981년에 EU에 가입한 이후부터 와인 양조기술과 그리스의 포도원들에 대해 막대한 투자가 이루어졌고, EU 보조금과 더불어 와인 메이커들의 헌신에 힘입어 그리스 전역에 최신식 와이너리들이 세워지게 되었다.
그리스 와인의 스타일
그리스 와인의 전형적인 특징을 설명하기란 참으로 어려운 일이다. 이것은 그리스의 지도를 훑으며 그 많은 섬과 산들, 그리고 지중해 지역의 에게해와 이오니아해에 인접한 위치를 보기만 해도 바로 이해될 것이다. 그리스는 유럽에서 세 번째로 산이 많은 나라로, 포도원의 대다수가 산악지대의 경사지나 외딴 섬에 있으며 면적이 1헥타르(2.471에이커)에도 못 미치는 것이 보통이다.
기후 면에서 볼 때 그리스의 일부 지역은 지중해성 기후로 간주되지만, 산악 지역의 경우엔 대륙성 기후에 더 가까워 풍부한 햇빛, 온화한 겨울, 건조한 여름, 서늘한 저녁 날씨를 누리고 있다. 또한 어떤 포도원들은 8월에 포도를 따는가 하면 10월에 들어서야 수확하는 포도원들도 있다. 일부 섬 지역은 토양이 화산토로 구성되어 있어, 포도원이 평지에 있느냐 가파른 산악 경사지에 있느냐에 따라 와인 스타일이 아주 다르다.
이처럼 그리스의 와인 생산지는 상당히 다양하다. 앞으로는 '그리스의 새로운' 와인들이 정립되어가는 시기가 될 것이다.
그리스의 주요 포도 품종
다음은 대표적인 청포도 품종 세 가지다.
아시르티코 ASSYRTIKO
모스코필레로 MOSCHOFILERO
로디티스 RODITIS
다음은 대표적인 적포도 품종 두 가지다.
아이오르이티코 AGIORGITIKO
크시노마브로 XINOMAVRO
그리스의 최고 와인 생산지
마케도니아(그리스 북부 지방)
- 나우사 Naoussa
- 아민데오 Amyndeo
펠로폰네소스(그리스 남부 지방)
- 만티니아 Mantinia
- 네메아 Nemea
- 파트라스 Patras
섬 지역
- 에게해 주변 섬들: 산토리니, 사모스, 로도스
- 크레타
그리스의 와인 규제
그리스의 우수한 와인들은 대부분 그리스 정부에서 지정한 OPAP(상품의 원산지 표기 와인들로 대체로 드라이한 편임)와 OPE(원산지 표기 제한 와인으로 모두 스위트함)에 들어가 있다. OPAP와 OPE 등급의 와인 모두 1971년 이후부터 이 등급으로 지정된 포도 재배 지역에서 생산된 것임을 의미하기도 한다. 네메아는 OPAP 와인의 전형이며 파트라스의 뮈스카 Muscat는 OPE 와인의 전형에 해당된다.
대체적으로 프랑스의 뱅 드 타블과 유사한 에피트라페지오스 오에노스 Epitrapezios Oenos(EO)라는 등급도 있는데, 이 등급은 원산지 명칭을 표기하지 않아 여러 지역의 와인을 블랜딩할 수 있다.
'취미 > 와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와인, 지피지기면 백전백승] 기타 와인 생산국 ③ 캐나다 · 칠레 · 아르헨티나 (0) | 2023.07.26 |
---|---|
[와인, 지피지기면 백전백승] 기타 와인 생산국 ② 오스트레일리아 · 뉴질랜드 · 남아프리카공화국 (0) | 2023.07.26 |
[와인, 지피지기면 백전백승] 샴페인, 셰리주, 포트와인 ② 셰리주 · 포트와인 (0) | 2023.07.26 |
[와인, 지피지기면 백전백승] 샴페인, 셰리주, 포트와인 ① 샴페인 · 메토드 샹프누아즈 (0) | 2023.07.26 |
[와인, 지피지기면 백전백승] 스페인과 이탈리아의 와인 ③ 이탈리아의 기타 주요 와인 산지 (0) | 2023.07.25 |